정보 분류

간이과세자 일반과세자 차이점

작성자 정보

  • GW 작성
  • 작성일

컨텐츠 정보

본문


 

1) 간이과세자 

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는 부가가치세에서만 차이가 있고 소득세, 원천세 등에서는 차이가 없습니다. 


매 분기 세금도 세무서에서 알아서 할인해서 얼마 내라고 나옵니다.

신고할 필요도 없고 내라는데로 내면 되니까요

일반 과세자가 부가세 10%를 낸다면 간이과세자는 최대 4% 이내입니다.



사업을 하다보니 신용카드, 체크카드 등의 매출로 인해 연매출 2,400만원이 넘는다면 세무서에서

"신용카드 의무 가맹점"이라고 나옵니다. 이 때는 필히 하셔야 되구요 


사업이 잘 되서 연매출 4,800만원이 넘는다면 "세금계산서 발행"을 해야됩니다.

즉. 이 매출 이상이라면 "일반과세자"로 변경됩니다.


 


연매출 2,400만원 => 신용카드 의무 가맹점

연매출 4,800만원 => 세금계산서 발행

일반과세자, 매출 신고, 부가세 납부


이 사업자는 세금계산서 발행이 안됩니다.


 


2) 일반과세자

처음부터 일반과세자로 신고해도 됩니다.

열심히 일해서 매출 올려 4,800만원 넘을 것 같고,

매출 뿐만 아니라 매입도 많아서 부가세 환급도 받아야 한다면, 필히 이걸로 하셔야죠


개인 사업자인 경우 개인이 쓰는 많은 항목을 환급 받을 수도 있습니다.

보통은 회사 업무용으로 쓴 것을 환급받아야 하지만, 개인사업자는 이게 구분이 쉽지 않아서

매 분기 매출, 매입 신고할 때 개인이 사용하는 주유비 등의 신용카드 등도 매입으로 신고하기도 합니다.


다르게 보면 그게 또 업무와 연관되기도 하거든요.


출처: http://imbiz.tistory.com/318 [나는 경제다]


 

아재감성 아재공간 다온네



추천 업체




아재 음악


관련자료

댓글 0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kkk
전체 1,376 / 67 페이지
RSS
알림 0